2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섬유패션, 메타버스 금맥 캐기에 나서

이미지
    섬유패션업계가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메타패션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메타버스 금맥 캐기에 적극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문승욱)는 2월 10(목) 오후 2시 서울 삼성동 섬유센터에서 섬유패션 및 IT, 연예기획사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섬유패션의 디지털 전환 전략」을 발표한 후 이행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문승욱 장관은 모두 발언을 통해 “다른 업종과는 달리 섬유패션산업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생산공정 혁신을 넘어 패션테크라는 블루오션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패션테크는 섬유패션산업의 오랜 숙원인 글로벌 브랜드 창출과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분야다”라고 강조했다.   문 장관은 "이 기회를 잡기 위해서는 섬유패션산업이 제품에서 콘텐츠·서비스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섬유패션업계가 IT업계, 엔터테인먼트 업계 등과 협업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지난 12월 제정된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을 토대로 우리 기업들의 패션테크 진출을 적극 지원하겠으며 세계적 수준의「메타패션 클러스터」조성을 선도 프로젝트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 이상운 회장(효성 부회장)은 "한국 섬유패션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디지털전환을 통한 산업생태계 혁신이 절실하지만, 디지털 전환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실행하기 위한 역량이 부족한 상황이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산업부가 수립한 [섬유패션 디지털전환 전략]은 디지털 혁신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를 ’세계 5대 섬유패션 선도국‘으로 도약시키겠다는 비전을 공유하고  글로벌 패션테크 시장 선점, 제조 현장의 지능화 및 자동화와 함께 디지털 기반의 산업 생태계 조성이라는 주요 추진 전략을 제시하고 있어, 섬유패션 산업계를 대표해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섬유패션 업계차원에서는 세계적 수준의 메타패션 클러스터 조성,  지능형 생산시스템 관련 핵심기

삼성전자, 한층 진화한 ‘비스포크 홈 22’ 공개

이미지
  2022년형 비스포크 홈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는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장 이재승 사장   삼성전자가 소비자 맞춤형 가전 비스포크(BESPOKE)를 출시한 지 4년 차를 맞아 ‘비욘드 비스포크(Beyond BESPOKE)’를 주제로 ‘비스포크 홈(BESPOKE Home)’ 신제품을 공개했다. 비욘드 비스포크는 기존 비스포크 가전을 한 단계 뛰어넘어 소비자 경험을 확장하고 풍요롭게 하겠다는 비전을 담고 있다.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장 이재승 사장은 이날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를 기반으로 진행된 미디어 행사에서 “공간과 시간, 경험의 한계를 극복해 소비자가 누릴 수 있는 가치를 계속 확장해 나갈 것”이라며 “소비자들한테 사랑받아 온 비스포크의 끊임없는 진화를 기대해 달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2019년 국내 최초로 도어 패널을 교체할 수 있는 ‘비스포크 냉장고’를 선보이며 맞춤형 가전 시장에서 새로운 장을 열었고, 지난해에는 주방뿐만 아니라 거실에서 세탁실에 이르기까지 집 안 어디서나 비스포크 가전을 경험할 수 있도록 비스포크 홈을 선보였다. 비스포크 홈은 △다양한 제품군을 통한 ‘공간의 확장’ △모듈형 제품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필요에 따라 패널을 교체하고 핵심 부품을 평생 보증해 제품의 사용 기간을 늘려주는 ‘시간의 확장’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통해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태계 확장’ 등 3가지 핵심 가치를 제공한다. 올해는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경험의 확장’을 추가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행사에서 AI 기반으로 집 안의 모든 가전제품을 연결해 나에게 맞춰 주는 통합 가전 솔루션인 ‘스마트싱스 홈 라이프(SmartThings Home Life)’를 선보였다. 이 서비스는 기존의 스마트싱스 기반 서비스들을 통합·발전시킨 것으로, 삼성전자에서 최근 강조하고 있는 고객 중심 멀티 디바이스 경험(Multi Device Experience)을 지원한다. 또한 기존의 비스포크 가치는 유지하면서도 프리미엄 경험을 강조한 ‘인피니트(Infinite

국내 자동차기업들, 1월 자동차 판매 저조

이미지
    현대자동차와 기아, 쌍용차의 1월 국내외 자동차 판매가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현대자동차는 2022년 1월 국내 4만6205대, 해외 23만5999대 등 세계 시장에서 총 28만2204대를 판매했는데 국내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22.3% 감소했으며 해외의 경우 9.8% 감소했다.   기아 역시  2022년 1월  국내 3만7038대, 해외 17만5781대 등 총 21만 2819대를 판매 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국내 판매는 10.7%  감소, 해외 판매는 4.6% 감소했다.   현대차는 2022년 1월 국내 시장에서 세단은 그랜저가 1806대, 쏘나타 2036대, 아반떼 5437대 등 총 9300대가 팔렸다. RV는 팰리세이드 4302대, 싼타페 2159대, 투싼 3619대, 아이오닉5 376대, 캐스퍼 3948대 등 총 1만6127대가 팔렸다.   포터는 5443대, 스타리아는 2810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1945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5501대, GV60 177대, GV70 2415대, GV80 1876대 등 총 1만580대가 팔렸다.   기아는 1월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5066대가 판매됐다. 승용 모델은 레이 3598대, K5 3342대, K8 2566대 등 총 1만3485대가 판매됐다.   쏘렌토를 포함한 RV 모델은 스포티지 4455대, 카니발 4114대, 셀토스 3468대 등 총 1만8848대가 판매됐다.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4520대 팔리는 등 버스와 트럭을 합쳐 총 4705대가 판매됐다.   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셀토스가 2만3505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이 됐다. 스포티지는 2만2766대, 프라이드(리오)가 1만6456대로 뒤를 이었다.   쌍용자동차도 1월 내수 4836대, 수출 2764대를 포함해 총 7600대를 판매했으나 내수와 수출 포함 1만 대 이상의 출고적체와 차량용 반도체 등 부품 수급 제약으로 인해 전년 동월 대비 12.4%

LG화학, 전지소재 12배 이상 성장, 2030년 매출 60조

이미지
      LG화학이 2030년까지 현재 매출의 두 배가 넘는 60조원을 달성하고, 친환경 고부가 신사업 비중을 절반 이상으로 끌어 올린다는 블루오션 시프트 전략을 발표했다. 2030년 매출 60조는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을 제외한 LG화학의 직접 사업만으로 계획된 수치이다. 신학철 부회장은 8일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된 투자자 설명회에서 매출을 2021년 26조원에서 2030년 60조원으로 130% 이상 성장시키고 △친환경 소재 △전지 소재 △신약 등 3대 신사업 매출도 3조에서 30조원으로 10배 이상 끌어 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R&D 투자도 가속한다. LG화학은 올해 연구개발 인원만 500여 명을 증원해 3300여 명을 확보할 예정이며, 연구개발비도 전년 대비 35% 이상 증액해 1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신 부회장은 “LG화학은 산업의 흐름에 따라 배터리 사업부터 IT 소재, 전지 소재 등 첨단소재와 바이오 사업에 이르기까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20년간 10배가 넘는 매출 성장을 이뤄왔다”며 “지금의 기후위기와 디지털 대전환, 포스트 팬데믹으로 인한 산업계의 대전환기(Great Reset) 역시 LG화학이 톱 글로벌 과학 기업(Top Global Science Company)으로 도약하는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친환경 소재·전지 소재·글로벌 신약 등 ESG 기반 고부가 신사업 비중 확대 LG화학은 대변혁의 시대에도 흔들림 없이 지속 성장하기 위한 3대 신성장 동력 육성 계획을 구체화했다. △친환경 소재: 리사이클·바이오·Energy Transition 소재 등으로 매출 8조원 달성 재활용(Recycle), 생분해성·바이오(Bio), 신재생에너지(Energy Transition) 소재 사업 중심의 친환경 Sustainability 비즈니스 매출을 1.4조원에서 2030년 8조원으로 6배 확대하며 저탄소 경제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글로벌 화학 업계를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Recycle 소재 LG화학은 글로벌